문 대통령, 미·독·러 정상 통화..."강력한 UN 제재 전적으로 협력"
문 대통령, 미·독·러 정상 통화..."강력한 UN 제재 전적으로 협력"
  • 김재윤 기자
  • 승인 2017.09.05 12: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문재인 대통령은 4일 밤 미국, 독일, 러시아 정상들과 잇따라 전화 통화를 갖고 북한의 6차 핵실험 이후 국제사회와의 강력한 공조 방안을 논의했다.<사진=청와대 페이스북>
문재인 대통령이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한미 미사일지침상 한국의 미사일 탄두중량 제한을 해제하기로 전격 합의했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서면브리핑을 통해 문 대통령이 4일 밤 메르켈 독일 총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차례로 국가 정상간 전화통화를 갖고 북한의 6차 핵실험에 대한 대응방안을 심도있게 논의했다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은 가장 먼저 4일 밤 9시 45분부터 20분간 메르켈 독일 총리와 전화통화를 갖고, 북한의 6차 핵실험에 대한 대응방안을 중점 논의했다.

문 대통령은 국제사회와 공조해 보다 강력한 유엔 안보리의 추가적인 대북제재 결의 채택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하면서, EU 핵심국가인 독일측의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역할을 당부했고 메르켈 총리는 이에 전적인 협력의사를 밝혔다.

양 정상은 국제사회가 일치단결해 최고수준의 제재와 압박을 가하는 것은 북한이 스스로 대화 테이블로 나오도록 만들기 위한 것이며, 북한 핵·미사일 문제의 평화적 해결이라는 기본원칙은 분명히 지켜져야 한다는 데도 공감했다.

이와 함께 문 대통령은 북한의 핵실험이 국제 평화에 대한 심각한 도전으로, 규모와 성격 면에서 과거와 차원이 다른 엄중한 도발이라고 지적하고, 추가 도발을 묵과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밤 10시 45분부터 40분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갖고 북한의 6차 핵실험에 대한 대응방안을 심도있게 논의했으며, 효과적인 대응방안으로서 한 미 미사일지침상 한국의 미사일 탄두중량 제한을 해제하기로 전격 합의했다.

문 대통령은 이번 핵실험이 과거보다 몇 배 더 강력한 위력을 보인 점과 북한 스스로가 ICBM 장착용 수소탄 실험이라고 주장했다는 점에서 매우 우려스러운 상황이라고 전하고, 국제사회와 협력해 이제는 차원이 다른, 그리고 북한이 절감할 수 있는 강력하고 실제적인 대응조치가 필요함을 강조한 데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전적인 공감을 표하고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을 약속했다.

양 정상은 강력한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바탕으로 북한의 도발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향후 도발 가능성에 철저히 대비해 나가기로 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양 정상은 한 미 미사일지침상 한국의 미사일 탄두중량 제한을 해제하는데 합의했다. 또한, 문대통령은 주한미군의 사드 임시 배치를 한국의 국내 절차에 따라 최대한 신속히 완료할 것이라고 전했다.

양 정상은 또, 지금은 북한에 대해 최고도로 강력한 압박과 제재를 가해야 한다는데 인식을 같이 하고 그 일환으로 우선 보다 더 강력한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를 추진하기로 했다.

끝으로 문재인 대통령은 밤 11시 30분부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20분간 전화통화를 갖고 북한의 6차 핵실험 도발에 대한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문 대통령은 "북핵 문제는 외교적 방법을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보나 그러기 위해서는 북한이 추가적 도발을 멈춰야 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또 "이번 핵실험은 규모와 성격면에서 과거와 차원이 다르며 특히 북한 스스로 ICBM장착용 수소탄 실험이라고 자랑했다는 점에서 더욱 우려스럽다"면서 "대북 원유 공급 중단과 북한 해외노동자 수입금지 등 북한의 외화 수입원을 근본적으로 차단할수 있는 방안을 유엔 안보리에서 진지하게 검토해야할 때"라고 강조했다.

중국 셔먼에서 열리고 있는 BRICS정상회의에 참석 중인 푸틴 대통령은 "북한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은 국제 비확산 체제를 파괴하고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실질적 위협이 되고 있다"며 "BRICS정상회의에서도 북한의 6차 핵실험을 규탄하는 선언문이 채택됐다"고 전했다.

푸틴 대통령은 그러나 "선언문에서도 한반도의 핵문제는 오로지 외교적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합의했다"면서 "6일부터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리는 정상회담에서 추가적으로 논의하자"고 말했다.